중위소득 기준 확인하기

중위소득 100%는 토대생활보장제도와 동일한 정부 지원금 시책에 수급자 선정에 규격이 됩니다. 매해 8월 1일 다음 연도 규격 중위소득이 결정 공표되고 있어 금일은 2023년 중위소득 100%를 인정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준 중위소득

매해 정부에서는 전체 가구의 소득 순위에서 중간에 해당하는 가구의 소득을 심의·의결하여 매해 8월 1일 까지 결정된 규격 중위소득 내막을 고시하고 있습니다. 2023년 규격 중위소득은  4인 가구 규격으로 전년대비 5.47% 인상되었습니다.

2023년 가구원 수 규격 중위소득

2023년 규격 중위소득은 1인 가구 규격으로 2022년 1,944,812원에서 2,077,892원으로 약 6.84% 인상 결의되었습니다.

1인: 2,077,892원

2인: 3,456,155원

3인: 4,434,816원

4인: 5,400,964원

5인: 6,330,688원

6인: 7,227,981원

원화를 계산기로 계산중이다

중위소득100%

2022년과 2023년 규격중위 소득을 대비한 표입니다. 단위는 원입니다. 규격 중위소득 대비 일정 비율을 교육급여(50%), 주거급여(47%), 의료급여(40%), 생계급여(30%)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년도중위소득 %1인가구 2인가구 3인가구 4인가구 5인가구 6인가구
2022년100%1,944,8123,260,0854,194,7015,121,0806,024,5156,907,004
2023년100%2,077,8923,260,0854,434,8165,400,9646,330,6887,227,981
 생계급여 수급기준 
2022년30%583,444978,0261,258,4101,536,3241,807,3552,072,101
2023년30%623,3681,036,8461,330,4451,620,2891,899,2062,168,394
 의료급여 수급기준 
2022년40%777,9251,304,0341,677,8802,048,4322,409,8062,762,802
2023년40%8311571,382,4621,773,9272,160,3862,532,2752,891,193
 주거급여 수급기준 
2022년47%894,6141,499,6391,929,5622,355,6972,771,2773,177,222
2023년47%976,6091,624,3932,084,3642,538,4532,975,4233,397,151
 교육급여 수급기준 
2022년50%972,4061,630,0432,097,3512,560,5403,012,2583,453,502
2023년50%1,038,9461,728,0772,217,4082,700,4823,165,3443,613,991

이 표를 보시면 규격 중위소득을 모두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2023년 1인 가구 중위소득 120%를 인정하고 싶다면, 2023년 1인 가구 중위소득 100%  2,077,892 × 120% = 2,493,470원이 됩니다.

정부에서 결의한 중위소득 100%는 직장인이 아닌 교역자인 경위 소득을 산정하기가 어렵기 까닭에 장본인이 어디에 속하는지 잘 알 수가 없습니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건강보험료를 규격으로 중위소득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료는 직장인은 월급을 규격으로 하고, 교역자 등(지역가입자)은 자산과 소득을 규격으로 금액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매월 납부하고 있는 건강보험료를 인정하시면 중위소득 규격을 순하게 인정하실 수 있습니다.

건강보험료 조회 납부방법

장본인의 건강보험료 조회는 민생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순하게 인정하실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